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- 컴퓨터공학 #Java #자바 #클래스 #객체 #인스턴스
- BOJ #컴퓨터공학 #C++ #알고리즘 #자료구조
- 잔
- HTML #CSS
- 컴퓨터공학 #자료구조 #스택 #c++ #알고리즘 #백준문제풀이
- 컴퓨터공학 #c #c언어 #문자열입력
- Today
- Total
목록Programming Language/Python (14)
영벨롭 개발 일지

https://iridescent-zeal.tistory.com/134?category=1267485 [Python]파이썬 requests 라이브러리 정리하기 [웹 크롤링 Web Crawling] 웹 크롤링은 웹 크롤러(Web Crawler, 웹 페이지의 데이터를 모아주는 소프트웨어)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의 데이터를 추출해내는 것입니다. HTML 페이지를 가져와서, HTML/CSS iridescent-zeal.tistory.com [ BeautifulSoup 라이브러리 ] HTML, XML, JSON 등 파일의 구문을 분석하는 모듈로 웹 페이지를 표현하는 HTML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하는 라이브러리입니다. 즉, 우리가 가져온 데이터를 의미있는 데이터로 바꾸어주는 역할을 합니다. [ 설치 및 import ..

[웹 크롤링 Web Crawling] 웹 크롤링은 웹 크롤러(Web Crawler, 웹 페이지의 데이터를 모아주는 소프트웨어)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의 데이터를 추출해내는 것입니다. HTML 페이지를 가져와서, HTML/CSS 등을 파싱하거나 Open API를 제공하는 서비스의 Open API를 호출해서 받은 데이터 중 필요한 데이터만 추출하는 기법입니다. [서버와 클라이언트-응답과 요청] 웹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있는 클라이언트(client)가 서버(server)에 요청(request)를 보내면 서버는 그 요청에 해당하는 응답(response)를 클라이언트에게 넘겨주게 됩니다. 이제 우리는 파이썬 requests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서버에게 요청(request)를 하여 적절한 응답(response)를 받아..

[리스트 특징] 특징 순서가 있는 자료형 원소의 중복이 가능한 자료형 변경이 가능한 자료형 [리스트 생성] #빈 리스트 생성 a = [] b = list() #생성과 동시에 초기화 c = [1, 2, 3, 4, 5] d = ["hello", 1, 2, "world"] [리스트의 덧셈, 곱셈] 덧셈 : 리스트 연결 a = [1, 2] b = [3, 4, 5] c = a + b print(c) # [1, 2, 3, 4, 5] 곱셈 : 리스트 반복 a = [1, 2] b = a * 3 print(b) # [1, 2, 1, 2, 1, 2] [리스트의 인덱싱 & 슬라이싱] 인덱싱 : 원소 접근 리스트는 순서가 있는 자료형이기 때문에 인덱스를 이용하여 원소를 접근할 수 있습니다. 인덱스 범위 양수 0 ~ N-1 (..

for x in 리스트(또는 튜플, 문자열) 리스트에서 원소를 차례대로 하나씩 꺼내 x로 전달하고, 리스트의 길이만큼 반복문이 실행됩니다. foods = ['떡볶이', '마라탕', '치킨', '피자', '햄버거'] for food in foods: print(food) for x in range() range() 함수는 숫자 리스트를 자동으로 만들어주는 함수입니다. range(n) 은 0 ~ n-1 까지의 숫자를 포함하는 range 객체를 만들어 줍니다. range(s, e) 은 s ~ e-1 까지의 숫자를 포함하는 range 객체를 만들어 줍니다. print('======range(5)=====') for i in range(5): print(i) print('======range(5, 10)=====..

[while문의 기본 구조] while 조건문: ... num = 1 while num

[if문의 기본 구조] if 조건문: ... elif 조건문: ... else: ... [조건문에서 사용하는 비교연산자] if문의 조건문에서 사용하는 비교연산자는 다음과 같습니다. 비교연산자 설명 a b a가 b보다 크다 a = b a가 b보다 크거나 같다 a == b a와 b는 같다 a != b a와 b는 같지 않다 a is b 객체 a와 객체 b는 같다 a is not b 객체 a와 객체 b는 같지 않다 a=1 b=2 if a>b: print(a,"는 ", b,"보다 크다") elif a